국가장학금 10분위 소득인정액 2300만원 월소득 인정액이 2300만원이라는데요.. 저희집 3인가구에 집 공시가 기준 5억정도자차 국산차
월소득 인정액이 2300만원이라는데요.. 저희집 3인가구에 집 공시가 기준 5억정도자차 국산차 공시가로 한 2천정도? 월소득액은 많아봐야 500정도 될거 같고저축은 6000만원미만인거같은데 이게 어떻게 2300만원이 나오죠? 부모님이 저한테 구라친건가요….
국가장학금 소득분위 산정 방식은 복잡하기 때문에, 단순히 월 소득만으로 소득인정액을 추정하기는 어렵습니다. 소득인정액은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, 부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계산되기 때문입니다.
소득인정액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:
* 소득: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재산소득, 기타소득 등 모든 소득이 합산됩니다.
* 재산: 부동산(주택, 토지 등), 자동차, 예금, 주식 등 모든 재산이 포함됩니다. 재산은 종류에 따라 소득으로 환산되는 비율이 다릅니다.
* 부채: 학자금 대출, 주택담보대출 등 부채는 재산에서 차감될 수 있습니다.
* 가구원 수: 가구원 수에 따라 생활비 등을 공제해줍니다.
예상되는 상황:
* 재산의 소득 환산: 5억 원 상당의 주택과 2천만 원 상당의 자동차는 재산으로 평가되어 소득으로 환산될 수 있습니다. 특히 주택은 공시가격 기준으로 일정 비율이 소득으로 환산됩니다.
* 소득 공제 부족: 3인 가구의 경우 일정 금액의 생활비가 공제되지만, 소득이 높을수록 공제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정확한 확인 방법:
1. 한국장학재단 문의: 한국장학재단에 직접 문의하여 소득인정액 산정 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 산정 내역을 자세히 알려달라고 요청하시면 어떤 항목에서 얼마가 반영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.
2. 소득인정액 계산 시뮬레이션: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소득인정액 계산 시뮬레이션을 해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부모님과의 대화:
* 단정적으로 부모님을 의심하기보다는, 소득인정액 산정 내역에 대해 함께 알아보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시는 것이 좋습니다.
* 부모님께서도 복잡한 산정 방식 때문에 정확한 내용을 모르실 수도 있습니다.
참고: 소득분위는 매년 변동될 수 있으며, 가구의 소득 및 재산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.